졸업소요학점
구분 | 교양 | 전공 | 일반선택 | 졸업학점 | 적용년도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교양필수 | 교양선택 | 소계 | 전공기본과정 | 전공심화과정 | 계 | ||||||
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소계 | |||||||||
신설 | 6 | 24 | 30 | 15 | 24 | 39 | 21 | 60 | 40 | 130 | 2024 |
졸업자격인정기준
대학 | 학과(부) | 영역별/입학년도 | 졸업자격 인정기준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AI융합대학 | 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 | 전공영역 | 전체 | 다음의 인정기준 중 하나 이상 충족 (1) 전공프로젝트 수행 - 지식재산캡스톤디자인 과목을 수강하여 전공프로젝트를 수행한 학생은 융합전공회의에서 합격여부를 판정한다. (2) 공모전·경진대회 입상 또는 특허출원 - 지식재산 관련 공모전·경진대회에 참가하여 수상하거나 특허를 출원하게 될 경우, 융합전공회의에서 합격여부를 판정한다. (3) 아래 지식재산 관련 자격증을 하나 이상 취득 - 변리사, 감정평가사, 기술거래사 - 지식재산능력시험 2급 * 상기 외 자격증의 인정여부는 융합전공회의에서 논의 후 결정 (4) 지식재산 소논문 학술지 게재 -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(등재 후보 학술지 포함) 또는 SCI(SSCI)급 등재 학술지에 제1저자로 게재 * 온라인 등재 포함 |
|
외국어 영역 | 전체 | -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 충족 (1) 정규 교육과정에 회화시간이 포함된 영어 교과목 이수자 (2) 생활영어1 또는 생활영어2 이수자 (3) 외국어 공인시험에서 아래의 점수 이상을 취득한 자 - TOEIC(영어): 600점 TOEIC 이외의 공인 어학능력시험 점수는 TOEIC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적용한다. |
|||
장기 수료생 | [장기수료자에 대한 졸업자격인정] 수료기간이 3년 이상인 수료자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수료자에 대해서는 졸업자격을 인정할 수 있다. - 취업 및 창업하여 졸업자격인정제도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는 수료자 [제출서류] 가. 졸업자격인정원 나. 건강보험가입확인서 등 취업사실을 소명하는 증빙서류 다. 사업자등록증 등 창업 사실을 소명하는 증빙서류 |